Git

Git, GitHub 사용해서 프로젝트 연동하기

yunayaa 2024. 3. 27. 16:19

요즘 자바, 스프링 강의를 듣고있는데 회사에서 공부할 때도 있고 집에서 공부할 때도 있고 카페에서 공부할 때도 있다보니 소스 관리의 필요성을 느꼈다. 

그래서 형상관리 도구 중 하나인 Git을 사용해 소스코드를 관리해야겠다고 생각했다.


간단하게 Git이란 소스코드 버전 관리시스템을 말하고 GitHub란 Git으로 관리하는 프로젝트를 올려놓을 수 있는 사이트라고 생각하면 된다.

 

Git에서 중요한 개념 중 저장소(Repository)라는 것이 있는데 저장소란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저장하는 장소로 

자신의 컴퓨터에 있는 '로컬 저장소 (Local Repository) ' 와 서버 등 네트워크에 있는 '원격 저장소 (Remote Repository) '의 2개소가 있다.

 

Git의 작동구조

 

이하 상세 개념에 대해서는 추후 블로그에 정리하도록 하겠다. 


 

내 프로젝트를 Git과 연동하여 GitHub에 올리기

(현재, 인텔리제이(intelliJ)에서 스프링(Spring) 프로젝트를 import한 상태이다.)

 

첫 번째, GitHub에서 원격저장소(Remote Repository)를 생성한다. 

두 번째, 개발툴의 Terminal에서 해당 프로젝트와 원격 저장소를 연결한다.

프로젝트를 저장소와 연결하는 방법

① git init

      -  지정된 디렉터리에 비어있는 Git 저장소를 만든다. ( 보통 이 명령은 새 프로젝트에서 처음 실행하는 명령 )
② git remote add origin 추가할 원격 git 저장소 주소

      -  GitHub에서 생성한 원격저장소를 Git에 등록한다.
③ git add .

      -  파일을 git statge에 추가한다. ( git status 명령어를 통해 stage에 추가된 파일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. )

④ git commit -m "커밋 내용"

      -  git stage에 추가된 파일을 '로컬저장소'에 commit한다.
⑤ git push -u origin branch명(ex.master)

      -  로컬에서 변경한 내용을 '원격저장소'에 푸쉬한다.

 

이렇게 진행하고 GitHub에 가보면 소스코드가 올려져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프로젝트를 저장소와 연결하는 방법

 

 


내가 보기 위해 정리해둔 Git 명령어 

*  python manage.py runserver

      -  서버 올리기
  git clone

      -  원격 저장소에 있는거 받기
  git add

      -  추가 및 수정,삭제한 파일들 stage(대기상태)
  git status

      -  stage에 담긴 변경 사항을 확인
  git commit -m "커밋할 내용"

      -  로컬 저장소에 전달
  git pull

      -  원격 저장소에 있는거 받기
  git push

      -  원격 저장소에 전달